학회프로그램

Day2. 2021.11.05(Fri)

Emergency procedure II

Proper electrocardiography and important electrocardiograms 응급실을 방문하는 대부분의 환자들에게 시행하는 심전도를 올바르게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응급실에서 주의깊게 봐야할 심전도 중에 실신을 유발할 수 있는 심전도와 중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맥을 알아 보고 이에 대한 판독 및 처치에 대해 알아본다. 하철민 (한일병원)
  • 올바른 심전도 검사방법 박진형 (서울의료원 응급의학과)
  • 실신을 유발할 수 있는 심전도 정의기 (중앙보훈병원 응급의학과)
  • 중환자에서의 부정맥 처치 황지은 (서울의대 응급의학과)
Monitoring of critical patients 중환자 진료는 응급의학과 의사로서 누구나 겪게 되는 상황입니다. 환자의 상태와 변화를 빠르게 인지하고 처치를 시행하는 것은 중환자 진료의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본 강좌에서는 다양한 중환자 모니터링 방법과 해석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박은정(아주의대 응급의학과)
  • 환기상태 모니터링(ventilator graphics) 정진우 (동아의대 응급의학과)
  • multimodality neuromonitoring in critical ill patients 최욱진 (울산의대 응급의학과)
  • Capnography 정호형 (아주의대 외상외과)
Emergency physicians can try one of the followings
“Blind approach” or “Sono-guided approach”
다양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응급실에 내원한다. 신경조절주사요법 분과에서는 학회, 연수강좌, 워크숍을 통해 다양한 통증과 자율신경기능이상 환자의 치료에 대하여 소개해 왔다. 이번 Session에서는 응급의학과 의사가 응급실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통증조절의 방법을 “Blind approach”와 “Sono guided approach”로 나누어 소개하겠다. 오인영 (김포우리병원)
  • Nerve modifying injection therapy
    비 전형적 흉통, 복통: 검사는 이상 없는데 왜 아픈거지? 이렇게 시도해 보자
    김성욱 (가톨릭의대 응급의학과)
  • Nerve modifying injection therapy
    응급실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허리통증과 다리통증. 이렇게 시도해 보자.
    김한빛 (순천향의대 응급의학과)
  • Sono guided pain management I
    초음파 유도하 중재술 - 흉곽과 몸통의 통증조절
    도한호 (동국의대 응급의학과)
  • Sono guided pain management II
    초음파를 이용한 목과 어깨 통증조절
    유영열 (연세바로걷는의원)

Special Lectures II

How to develop the emergency medical equipments
응급의료 기기의 개발과 사업화
응급의료기기는 응급의료 행위에 있어 필수적이다. 응급의료기기의 개발은 수요자들의 요구가 반영된 기기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의료기기에 대한 범 국가적 지원으로 많은 R & D사업들이 진행이 되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응급의료기기 개발에 대한 소개와 현재 진행 중인 의료기기 R & D와 사업화 과정에 대하여 공유하고자 한다. 이강현 (연세원주의대 응급의학과)
  • 응급의료기기 개발과정 소개 이강현 (연세원주의대 응급의학과)
  • 범부처 의료기기 개발 과제 소개 1:
    감염관리를 대비한 원격조정 및 심장충격기 융합 자동 흉부압박기 개발
    홍기정 (서울의대 응급의학과)
  • 범부처 의료기기 개발 과제 소개 2:
    인공지능 기반 중증악화 예측 가능한 고성능 환자감시장치 시스템 개발
    육 현 (연세원주의대 응급의학과)
  • 응급의료기기 개발과 사업화 박정환 (㈜ 메쥬)

Essentials for emergency medicine II

Diagnosis and treatment for acute onset of arrhythmia in emergency department
응급실에서 만나는 급성기 부정맥의 진단과 그 해결방안
응급실에서 만나는 흔하고 위험한 그리고 심전도로 진단할 수 있는 질환들을 살펴보고 응급처치를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준비하였습니다. 최신 동향을 살펴보고 적절한 처치를 할 수 있는 역량을 얻고자 합니다. 이재훈(동아의대 응급의학과)
  • Ventricular tachycardia 오성범 (단국의대 응급의학과)
  • Atrial fibrillation with rapid ventricular response 서동우 (울산의대 응급의학과)
  •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이원웅 (성남시의료원 응급의학과)
  • Sick sinus syndrome 신승열 (인하의대 응급의학과)
Urgent procedure using echo in emergency department
응급실에서 심초음파를 이용한 응급 술기
응급실에서 초음파를 이용한 술기와 중환들의 치료에 있어서 초음파의 역할에 대해 살펴봅니다. 진단적인 초음파 외 치료적 의미로서의 초음파 술기를 익히고자 합니다. 이재훈(동아의대 응급의학과)
  • Pericardiocentesis 이동현 (동아의대 중환자의학과)
  • RVF and ventilator 이재훈 (동아의대 응급의학과)
  • PE and thrombolysis 정혜진 (순천향의대 응급의학과)
  • Echo in critical care and TCP 홍주영 (연세의대 응급의학과)
슬기로운 소아진정 소아응급실에서 안전한 검사 및 시술을 위해 꼭 필요한 소아 진정 관련 최신 지침, 상황별 진정 종류와 방법, 그리고 안전한 진정을 위한 모니터링과 응급상황 대처법에 대해 알아본다. 박중완(서울의대 응급의학과)
  • 이럴 땐 이런 진정! 슬기로운 진정 약물 선택 이정용 (울산의대 소아청소년과)
  • 안전한 진정을 위한 슬기로운 진정 준비와 감시 배우리 (가톨릭의대 소아청소년과)
  • 진정 중 발생하는 응급상황! 슬기롭게 대처하기 윤서희 (연세의대 소아청소년과)
Emergency procedures for pediatric patients
소아환자 술기 잘하기
최근 많은 진료영역이 세분화되고 전문화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응급의료 분야는 아직까지 관심이 부족하며 의료진들이 '소아'와 '응급'에 대해 부담을 가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 세션은 소아응급환자에게 시행하는 술기를 잘 할 수 있는법을 공유하고자 준비한 세션입니다. 술기에 대한 자신감은 소아응급환자 및 소아중환자 진료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응급처치의 첫번째인 airway management에 대한 내용부터 보편적인 말초정맥 확보 이외에 line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심정맥관 삽입과 골강내주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재연 (가천의대 응급의학과)
  • 소아 기도관리 잘하기 장재호 (가천의대 응급의학과)
  • 소아중심정맥관삽입 한번에 성공하기 장익완 (대한소아응급의학회)
  • 골강내주사, 이것만 알면 어렵지않아요 서동범 (서울의대 응급의학과)

필수평점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 2018년부터 시행된 연명의료결정법은 말기 질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존중과 의료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아주 좋은 의도를 가진 법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이에 대해 잘 모르는 환자와 보호자가 있기 마련이며 이들은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결국 응급실에 오게 됩니다. 연명의료결정법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응급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특히 소규모 응급실에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배현아(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송예완(아주의대 응급의학과)
  • 연명의료결정법이란? 개정된 사항과 응급 상황을 중심으로 배현아 (이화여대 법학전문대학원)
  • 지역응급의료센터 이하의 소규모 응급실에서의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과 제언 송예완 (아주의대 응급의학과)
  • 연명의료결정을 위한 효과적 의료커뮤니케이션 박일환 (단국의대 가정의학과)

(04510)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 464, 101동 3104호 (중림동, 브라운스톤서울)

COPYRIGHT 대한응급의학회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ALL RIGHTS RESERVED.